개인적으로 느끼는 지메일의 가장 큰 문제는 약간 느리다는 것이다. 페이지 갱신 없이 ajax 로 이루어지는 듯한 인터페이스는 매끄러운 편이지만, 기본적인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늦는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. 특히 로그인시 로딩 화면은 길면 십여초가 걸리기도 한다. 이렇게 지메일의 느린 속도에 불만이 있다면, https 옵션을 끄고 사용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. 지메일에 로그인 후 환경설정 → 브라우저 연결 : 항상 https를 사용하지는 않음을 선택해두면, 보다 빨라진 지메일 로딩 속도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. 다만 이렇게 하면 보호된 프로토콜이 아닌 범용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이메일이 해커 등 제3자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. 자신의 이메일 계정에 중요한 비밀이..
웹메일을 서비스하는 곳은 참 많다. 웹메일 이외에도 POP3 를 이용해 아웃룩과 같은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직장인들도 많겠지만, 클라이언트/웹메일을 통털어 나는 지메일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. 왜냐하면 가장 기본에 충실한 웹메일 서비스이기 때문이다. 각 메일 서비스별 항목 비교 Gmail 네이버 메일 다음 메일 파란 메일 네이트 메일 야후! 메일 자동로그인 O X X X X O 문서읽기 O O X X X X 기본용량 약 7GB 300MB 100MB 1GB 2GB 무제한 대용량 메일 X O O O O O 이미지 삽입 O O X O O X 도메인 지원 O X X X X X 중요도 설정 O X O O X O AJAX 모드 O X O X X O 타 주소로 발송 O X X X X X 단축키 지원 O X X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웹브라우저
- 일본
- 구글
- ie
- 웹표준
- html5
- 스마트폰
- 인터넷 익스플로러
- 도쿄
- 네이트온
- IE8
- 네이버
- css
- 트위터
- 아이폰
- 쥐새끼
- 고양이
- IE6
- 안드로이드
- IOS
- adobe
- 애플
- 일본여행
- 2mb
- 액티브x
- 모바일
- 아이패드
- 소프트웨어
- 오크우드
- 코스트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